맨위로가기

라호르 수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호르 수바는 무굴 제국 시대에 존재했던 행정 구역으로, 현재 파키스탄 펀자브 지역에 해당한다. 남쪽으로는 물탄, 델리 수바, 북쪽으로는 카슈미르 수바, 서쪽으로는 카불 수바와 접했으며, 동북쪽으로는 자치적인 언덕 국가들과 인접해 있었다. 1580년 아크바르 황제에 의해 설치되었으며, 5개의 사르카르(행정구역)로 구성되어 있었다. 라호르는 무굴 제국의 중요한 군사 장비 생산지였으며, 특히 우츠 강철 생산으로 유명했다. 라호르 시에는 무굴 제국 시대의 기념물이 많이 남아 있으며, 자한기르 황제의 묘, 샤 자한의 라호르 요새, 샬리마르 정원, 바드샤히 모스크 등이 대표적이다. 18세기 초 무굴 제국의 쇠퇴와 함께 아프간 세력의 지배를 받다가, 마라타 제국의 지원을 받은 아디나 베그에 의해 아프간 세력이 몰아내기도 했지만, 1761년 다시 두라니 제국에 점령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굴 제국의 수바 - 벵골 수바
    벵골 수바는 무굴 제국 시대에 현재의 방글라데시와 인도 서벵골 주를 아우르는 지역을 통치했던 행정 구역으로, 번영하는 경제와 독특한 문화 유산을 남겼으나 플라시 전투 이후 영국 동인도 회사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 무굴 제국의 수바 - 말와 수바
    말와 수바는 무굴 제국이 과거 말와 술탄국 지역을 편입하여 설치한 행정 구역으로, 우자인을 주도로 12개의 사르카르와 301개의 파르가나로 구성되었으며, 수바다르를 임명하여 통치했다.
  • 펀자브의 역사 - 바라타족
    바라타족은 고대 인도 아대륙의 사라스바티 강과 드르샤드바티 강 유역에 거주하며 리그베다에 등장하는 부족으로, 십왕 전쟁 승리 후 푸루족과 연합하여 쿠루족을 형성하고 갠지스 강 상류 지역을 장악했으며, 인도 공화국 공식 명칭인 "바라타"의 어원이 되었다.
  • 펀자브의 역사 - 시크 연맹
    시크 연맹은 18세기 펀자브 지역에서 무굴 제국의 쇠퇴 이후 시크교도들이 형성한 자치적인 미슬들의 연합체로, 무굴 통치자들의 박해에 맞서 군대를 조직한 시크교 구루들의 노력에서 비롯되었으며, 1748년 달 칼사라는 통일된 군대를 결성하여 필요에 따라 연합했으나, 1799년 란지트 싱에 의해 시크 제국으로 통합되었다.
라호르 수바
지도
기본 정보
공식 명칭라호르 수바
로마자 표기La(h)ōr Dā Sūbāh (펀자브어), Sūbāh-ey-Lāhōr (페르시아어)
국가무굴 제국
행정 구역수바
존속 기간1580년 – 1758년
수도라호르
현재 소속 국가인도
파키스탄
정치
정치 체제행정 구역 (subdivision)
직책수베다르
지도자수베다르
역사
시작1580년
해체1758년 9월 15일
이전무굴 제국
이후두라니 제국
시크교 연맹
기타
장 밥티스트 조제프 젠틸이 의뢰한 무굴 제국의 라호르 수바의 정교하게 묘사된 지도, ca.1770
장 밥티스트 조제프 젠틸이 의뢰한 무굴 제국의 라호르 수바의 정교하게 묘사된 지도, ca.1770

2. 지리

라호르 수바는 남쪽으로 물탄 수바, 델리 수바, 북쪽으로 카슈미르 수바, 서쪽으로 카불 수바, 북동쪽으로 자치적인 언덕 국가들과 접해 있었다.[3]

3. 역사

1519년 바부르인더스강을 건너 베라와 쿠샤브를 점령하고 1524년 라호르를 약탈하면서 라호르 수바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이후 바부르는 1526년까지 인더스강에서 수틀레지강에 이르는 지역을 장악했다. 바부르 사후 아들 카므란이 수틀레지까지의 지역을 병합했고, 후마윤셰르 샤 수리와의 분쟁으로 카불로 도망갔다. 이 지역은 수르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셰르 샤는 아프간족 이주 정책과 칵카르족에 대한 군사 작전을 펼쳤고, 젤룸 근처에 로타스 요새를 건설했다. 1555년 수르 제국 분열 후, 시르힌드 전투에서 무굴군이 승리하며 펀자브와 북인도 전역에 무굴 제국이 재건되었다. 이후 무굴 제국은 24년간 펀자브에서 권력을 공고히 했고, 1580년 아크바르는 영토를 12개의 수바로 재편하며 라호르 수바를 설치했다. 1638년부터 1642년까지 샤 자한은 무굴 궁정을 라호르로 옮겼고, 아우랑제브1640년에 라호르를 방문했다.

1712년 바하두르 샤 1세 사후 무굴 제국은 쇠퇴하였고, 라호르 수바 총독의 임기는 세습되는 경향을 보였다. 1713년부터 1745년까지 압드 알-사마드 칸과 자카리야 칸 바하두르 부자가 총독직을 맡았다. 자카리야 칸 사후, 후임 총독 임명이 지연되는 동안 시크교도의 공격과 반란이 일어났다. 1747년, 두라니 제국아흐마드 샤 두라니와 동맹을 맺은 하야툴라 칸이 야흐야 칸을 몰아냈으나, 1748년 아프간군에게 패배했다.

아프간군은 라호르를 점령 후 델리로 진격했지만 패배했고, 무굴군은 무인-울-물크를 총독으로 임명했다. 두라니의 재침공으로 평화 협정이 체결되었으나, 무인-울-물크는 여러 반란과 두라니의 공격에 직면했다. 델리의 지원을 받지 못한 그는 1752년 아프간군에게 패배했고, 라호르 수바는 아프간에 합병되었다. 무인-울-물크는 1753년 사망할 때까지 통치했고, 무굴군은 1756년 잠시 수바를 재점령했지만 패배했다. 1758년, 아디나 베그가 마라타 제국의 도움으로 아프간군을 몰아냈으나, 그의 죽음으로 1761년 두라니 제국이 다시 점령했다.

3. 1. 무굴 제국의 지배

1519년, 바부르는 처음으로 인더스강을 건너 베라와 쿠샤브까지 신드 사가르 도압 전체를 장악했으며, 1524년에는 라호르를 약탈했다. 그는 새로 점령한 영토의 핵심 요직에 대표자를 임명했는데, 라호르에는 미르 압둘 아지즈가 임명되었다.[4] 그는 쿠틸라, 하루르, 칼루르와 같은 여러 주요 산악 요새를 점령했다.[3] 1526년까지 인더스강에서 수틀레지강에 이르는 전 지역이 그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바부르의 사망 후, 그의 아들 카므란은 수틀레지까지의 지역을 병합했고, 이는 델리에 있던 후마윤이 묵인했다. 전략적으로 중요한 이 지역으로부터 자원을 얻지 못한 후마윤은 셰르 샤 수리와의 분쟁에서 어려움을 겪었고 카불로 도망갔다.[3] 이 지역은 이제 수르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라호르 시에 도착한 후마윤', "세 번째" 악바르나마 원고의 삽화, ca.1595–1600


셰르 샤는 닐라브에서 라호르까지의 지역을 로흐 출신의 아프간족으로 채우는 정책을 시행했다.[5] 다음으로 그는 무굴 제국과 우호적인 관계를 맺고 있다고 의심되는 칵카르족을 상대로 군사 작전을 시작했다.[6] 이 기간 동안 셰르 샤는 젤룸 근처에 로타스 요새를 건설했다. 셰르 샤의 후계자인 이슬람 샤가 죽은 후, 1555년 수르 제국은 네 개의 분리되고 적대적인 세력으로 분열되었다. 펀자브 지역은 시칸다르 수리의 지배하에 들어갔고, 이후 아딜 수리가 델리와 아그라를 통치했다. 그러나 후마윤 휘하의 무굴군은 1555년 시르힌드 전투에서 아딜을 격파하고 펀자브와 북인도 전역에 무굴 제국을 재건했다.

그 후 24년 동안 무굴 제국은 펀자브에서 점차적으로 권력을 공고히 했다. 지역 자민다르, 산악 요새, 그리고 아프간 세력의 잔당을 제압하기 위한 작전이 이어졌다. 칵카르족은 술탄 사랑 칸의 아들 카말 칸 휘하에서 무굴 정치에 편입되어 동화되었다.[3] 1566년과 1581년에 미르자 무함마드 하킴은 아크바르의 이복 동생으로, 라호르를 점령하기 위한 실패한 작전을 시작했다.

1580년, 아크바르는 자신의 영토를 12개의 수바(Subah)로 재편했는데, 그 중 하나가 라호르 수바였다.

무라르가 그린 라호르 궁정에 도착한 아우랑제브 왕자(1640년 1월 9일)와 샤 자한의 영접 그림


1638년 8월에서 1642년 사이, 샤 자한은 인근 아프가니스탄의 칸다하르 요새에 대한 페르시아 샤의 군대와 전투를 벌이는 군대 때문에 무굴 궁정을 라호르로 옮겼다.[7] 아우랑제브(당시 왕자)는 1640년 1월 9일에 라호르를 잠시 방문했다.[7]

3. 2. 쇠퇴와 아프간의 지배

1712년 바하두르 샤 1세가 사망한 후, 무굴 제국은 강력한 귀족들의 영향으로 쇠퇴하기 시작했다. 제국의 권위가 약해지면서 각 지역 통치자들은 독립을 선언했고, 이는 제국의 수입 감소와 재정 위기로 이어졌다.[3] 라호르 수바에서는 총독의 임기가 길어지고 세습되는 경향을 보였다.[8] 1713년부터 1745년까지 압드 알-사마드 칸과 그의 아들 자카리야 칸 바하두르 단 두 사람만이 총독직을 맡았다.[3]

자카리야 칸의 사망은 라호르 수바에서 무굴 통치의 종말을 가속화시켰다. 황제 무함마드 샤와 와지르 카므루딘 사이의 갈등으로 후임 총독 임명이 지연되었다.[3] 결국 카므루딘은 라호르와 물탄 수바의 총독이 되었고, 미르 모민 칸과 야흐야 칸을 대리 총독으로 임명했다.[3]

자카리야 칸 사후, 야흐야 칸은 시크교도의 공격 증가와 자카리야 칸의 아들 하야툴라 칸의 반란에 직면하며 어려움을 겪었다.[3] 1747년, 하야툴라 칸은 야흐야 칸을 격파하고 두라니 제국아흐마드 샤 두라니와 동맹을 맺었다. 무굴 정부는 하야툴라 칸에게 두라니를 물리치면 여러 수바를 주겠다고 제안했지만, 1748년 하야툴라 칸은 아프간군에게 패배하고 델리로 도망쳤다.[3]

아프간군은 라호르를 점령하고 델리로 진격했지만, 1748년 시르힌드에서 패배했다. 무굴군은 무인-울-물크를 라호르와 물탄 수바의 총독으로 임명했다. 두라니는 다시 침공하여 시알코트, 구자라트, 파스루르, 아우랑가바드의 수입을 아프간에 넘기는 평화 협정을 맺었다. 무인-울-물크는 여러 반란에 직면했고, 두라니의 공격을 받았다. 델리의 지원을 받지 못한 그는 시크 용병을 고용했지만, 1752년 결국 아프간군에게 패배했다. 라호르 수바는 아프간에 합병되었지만, 무인-울-물크는 1753년 사망할 때까지 통치를 계속했다. 무굴군은 1756년 잠시 수바를 재점령했지만, 곧 패배했다.[3] 1758년, 마지막 총독 아디나 베그는 마라타 제국의 도움으로 아프간군을 몰아냈지만, 그의 죽음으로 1761년 두라니 제국이 다시 점령했다.[9]

4. 행정

라호르 수바는 5개의 사르카르(행정 구역)로 나뉘었으며, 각 사르카르는 다시 마할(지구)로 세분화되었다. 5개의 사르카르는 레흐나, 비스트 잘란다르, 바리, 신드 사가르, 제흐였다.

사르카르마할 수주요 지역
신드 사가르42하자라 카르루그, Attock, 로타스, Pindi Gheb, 샴사바드, Khushab
제흐21Bhimber, Dadyal, 구자라트, Bhera, 말로트, 하자라
레흐나57Jammu, Jasrota, 참바, Sialkot, Pasrur, Zafarwal, Hafizabad, Eminabad, Chiniot, Shorkot
비스트 잘란다르60술탄푸르, Nakodar, Mamdot, Bajwara, Jalandhar
바리52캉그라, Batala, Pathankot, Lahore, Kasur, Dipalpur



수바는 수바다르(총독)라고 불리는 총독이 통치했다. 총독의 임무는 평화 유지, 북부 산악 국가 제압, 법정 사건 심리, 지방 관리 감독, 공공 사업 수행이었다.[3] 일반적으로 한 명의 총독이 임명되었지만, 악바르 통치 기간에는 두 명의 총독을 임명하여 한 명이 법정에 출두하거나 병이 났을 때를 대비했다.[12] 악바르는 펀자브에서 아트카 카일과의 경험을 통해 총독이 너무 강력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총독을 교체해야 한다고 믿었다. 따라서 역사 대부분 동안 총독은 수바에서 짧은 임기를 수행했다.[12]

디완은 모든 재정 업무를 담당했으며, 모든 파우지다르, 자기르다르, 잠인다르, 아민, 카로리스 및 카눈고는 디완에게 수입 문제를 보고해야 했다.[3] 1595년에 디완은 총독으로부터 독립되었고 중앙 정부의 디완-이-알라의 직접적인 통제를 받게 되었다.

지방 박시는 군사 업무를 관리했다. 그는 만사브다르가 의무를 다하는지 확인하고 증명서를 발급했다. 박시는 또한 수바의 공식 뉴스 작가로 활동하며 모든 사건을 중앙 정부에 보고했다.[3]

수바의 수도인 라호르에는 가지가 임명되어 사건을 심리하고, 조사를 수행하고, 판결을 내렸다.[3]

5. 경제

무굴 제국 시대에 라호르는 17세기에 40만에서 70만 명의 인구를 가진 중세 시대의 세계에서 가장 큰 도시 중 하나였다.[14][13] 이와 대조적으로, 1600년에는 유럽에서 20만 명 이상의 인구를 가진 도시는 3개에 불과했다.[14] 1670년 서사시 실낙원에서 영국 시인 존 밀턴은 라호르를 아담이 낙원의 언덕에서 본 가장 번성한 도시 중 하나로 언급하며, "''아그라라호르, 위대한 무굴 제국의 — 가장 강력한 제국의 자리.''"라고 썼다.[15]

잠자마 포 (1757), 라호르에서 제작됨


라호르는 델리와 함께 무굴 제국의 군사장비 생산의 가장 중요한 중심지였다.[16] 1757년, 라호르 수바가 일시적으로 아흐마드 샤 아브달리의 통제하에 들어갔을 때, 잠자마 대포는 라호르 수바의 전 무굴 총독 모인 울 물크의 금속공인 샤 나지르에 의해 주조될 것을 명받았다.[17] 이 대포는 아대륙에서 만들어진 것 중 가장 큰 것 중 하나였다.

라호르는 특히 유명한 우츠 강철을 비롯한 이음매 없는 강철 생산의 주요 중심지였다.[18] 17세기에 디야 앗딘 무하마드는 1668년 라호르에서 천구의를 제작했다.[19] 이 구체는 이음새가 없도록 한 조각으로 제작되었다. 이 복잡한 공정은 디야 앗딘 무하마드가 일했던 라호르 작업장에서 발명되지는 않았지만 확실히 완성되었다.[20] 무굴 제국 시대에 약 20개의 그러한 구체가 라호르에서 생산되었다.

6. 문화

라호르 수바, 특히 라호르 시에는 무굴 제국 시대의 기념물이 많이 있다. 라호르의 번영과 중심적인 위치 덕분에 델리아그라보다 더 많은 무굴 제국 시대의 기념물이 라호르에 들어서게 되었다.[21] 라호르는 이 시기에 문화적 정점에 도달하여 수십 개의 모스크, 무덤, 사당, 도시 기반 시설이 개발되었다. 자한기르 황제는 라호르에 묻히기로 결정했고, 그의 묘는 1637년 그의 아내 누르 자한에 의해 라호르의 샤다라 바그 교외에 건설되었으며, 그녀의 묘도 근처에 있다. 그의 아들 샤 자한은 1628년부터 1658년까지 통치했으며 1592년 라호르에서 태어났다. 그는 호화로운 흰색 대리석으로 라호르 요새의 상당 부분을 개조하고 1633년에 상징적인 나울라카 파빌리온을 세웠다.[22] 샤 자한은 1635년 샤히 함맘, 1641년 샬리마르 정원과 화려하게 장식된 와지르 칸 모스크와 같이 라호르에 가장 유명하고 상징적인 기념물을 쏟아부었다. 라호르의 무굴 기념물 중 가장 큰 것은 아우랑제브 황제 통치 기간인 1673년에 세워진 바드샤히 모스크와 1674년에 세워진 라호르 요새의 상징적인 "알람기리" 문이었다.[23]

라호르 요새

7. 주요 통치자

다음은 중앙 무굴 정부에 의해 임명된 라호르 수바의 주목할 만한 총독 목록이다.[12][24]

16세기



17세기



18세기


참조

[1] 서적 Environment https://academic.oup[...] Oxford University Press 2021-04-01
[2] 서적 Irrigation, State and Society in Pre-colonial India Nehru Memorial Museum and Library
[3] 서적 The Mughal Subah of Lahore, 1581-1751: A Study of Administrative Structure and Practices Panjab University 1985
[4] 서적 Babur Janaki Prakashan 1978
[5] 서적 The Life and Times of Humayun Central Book Depot 1976
[6] 서적 The Life and Times of Humayun Central Book Depot 1976
[7] 웹사이트 Murar - The Arrival of Prince Awrangzeb at the court at Lahore (9 January 1640) https://www.rct.uk/c[...] 2023-08-05
[8] 서적 The Mughal Subah of Lahore, 1581-1751: A Study of Administrative Structure and Practices Panjab University 1985
[9] 서적 India's Historic Battles: From Alexander the Great to Kargil Permanent Black, India
[10] 서적 Chār Bāgh-i-Panjāb Amritsar: Guru Nanak Dev University 1975
[11] 서적 Chār Bāgh-i-Panjāb Amritsar: Guru Nanak Dev University 1975
[12] 간행물 Provincial Governors Under Akbar (1580-1605) 1970
[13] 서적 The Origins of Globalization: World Trade in the Making of the Global Economy, 1500-180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09-20
[14] 서적 A Population History of India: From the First Modern People to the Present Da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8
[15] 웹사이트 Dawn Features; December 1, 2003 https://www.dawn.com[...] 2003-12
[16] 서적 A Century of Collecting, 1882-1982: A Guide to the Manchester City Art Galleries https://books.google[...] Manchester City Art Gallery 1983
[17] 웹사이트 New Frontiers of Metallurgy in Archaeology of Punjab Pakistan By Dr Parvaiz Habibullah Educational Press. Pakistan Chowk, Karachi http://www.dawn.com/[...] 2007-09-27
[18] 서적 Metallurgy in India: A Retrospective https://books.google[...] India International Publisher 2001
[19] 웹사이트 Celestial globe https://www.nms.ac.u[...] 2020-10-15
[20] 서적 Islamicate Celestial Globes: Their History, Construction, and Use Smithsonian Institution Press
[21] 뉴스 Short Cuts https://www.economis[...] 2016-03-19
[22] 웹사이트 International council on monuments and sites https://whc.unesco.o[...] UNESCO 2015-04-13
[23] 웹사이트 Lahore Fort Alamgiri Gate http://www.orientala[...] 2017-12-28
[24] 간행물 PROVINCIAL GOVERNORS UNDER SHAH JAHAN—AN ANALYSIS 197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